공인회계사를 포함한 외부 감사인은 회계처리의 적정성 여부와 재무제표의 분식여부를 중심으로 기업의 재무자료에 대한 감사를 실시한다. 근래에는 기업의 회계자료 분식에 대한 염려 때문에 엄격한 회계감사를 실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외부 감사인의 부실한 감사업무 수행에 대하여 책임을 묻는 경우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사인은 좀 더 세심한 경영분석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신용평가기관은 기업의 원리금 상환능력과 채무불이행 위험을 측정하여 신용평가를 실시한다. 신용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 기업에 대한 여러가지 경영정보를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하다. 신용평가에 따른 신용등급은 유가증권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과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공인회계사의 회계감사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는 기업에게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기업이 감사 결과 적정의견을 받지 못한다면 거래소에 상장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는 것이다.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도 기업의 이미지와 실질적인 자금운용에 영향을 미친다. 공인회계사와 신용평가기관은 광범위하면서도 정밀한 경영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식 기초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율을 활용해라 (0) | 2020.04.01 |
---|---|
경영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한계점 (0) | 2020.03.29 |
도대체 주식분할의 효과는 뭐지? (0) | 2020.03.24 |
사채할인발행차금의 상각 (0) | 2020.03.22 |
현금성 자산은? (0) | 202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