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만들기 적금 Vs 저위험 중수익 상품, 승자는?
자산을 불리려면 우선 1억을 만들라는 말이 있죠. 맞아요,
목돈이 크면 클수록 재테크에 유리한 것이 사실이에요.
하지만 1억을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적금을
이용하기보다는 저위험 중수익 상품을
활용해보시는 것이 더 좋죠.
그렇다면 1억만들기 적금상품과
저위험 중수익 추천 상품을 서로 비교해볼게요.
1억만들기 적금 상품으로 추천받는 상품은?
1. KDB산업은행-KDB dream 자유적금
첫 번째 1억만들기 상품은 최대 가입기간 3년에
최대 1.6%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요.
만약 월 100만원씩 저축을 한다고 하면
3년 후 75만원 수준의 이자를 받고,
연으로 환산하면 25만원 수준이네요.
물가상승률이 연 2%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인기있는 상품치고는 적네요.
2. 수협은행 Sh 월복리자유적금
두 번째로 인기가 많은 1억만들기 적금 상품인데요,
단리로 계산되는 여타 적금과 달리 복리로 계산이 되고,
3년 이상 가입 시 최대 1.4%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만약 월 100만원씩 3년 예치하면 3년 후
총 66만원, 연으로 환산하면
약 22만원 수준의 이자를 받게 되요.
3. 우리은행 The조은정기적금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1억만들기 적금 상품은 우리은행 상품인데요,
이 상품은 최대 금리가 2.75%인 대신
최대 가입기간이 1년 밖에 되지 않아요.
따라서 월 100만원씩 예치한다고 하더라도
연 이자가 15만원 수준이에요.
표면 금리만 높았을 뿐 타 상품과 유사하네요.
이렇게 1억만들기 적금 상품으로
인기있는 것들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처럼 적금은 표면금리가 높은 경우 가입기간, 납입한도가
있어서 자산을 효과적으로 불리기에는 어려움이 커요.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재테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죠.
예적금만큼 안정성을 추구하면서도 1억만들기 적금보다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들이 있으니까요!
단기투자에는 특판상품을 이용해라!
보통 CMA 상품은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연 1~1.5% 수준의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인데요,
간혹 특판으로 출시하는 경우
연 5% 수준의 금리혜택
을 얻을 수 있어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죠.
주로 국공채 등 원금손실이 없는 자산에 투자하는
RP 상품의 경우에도 특판으로 출시하는 경우
연 5~7% 수준의 금리
를 주는 경우가 있어요.
이 경우 1억만들기 적금상품에 비해 금리가 최소 2배 이상이죠.
장기투자에는 리츠펀드 및 인덱스펀드!
리츠펀드는 주로 대기업이 장기임차하는
안정적인 부동산에 투자하는 상품이에요.
그래서 최근까지도 연 6~8% 수익을 기록해 왔죠.
인덱스펀드도 도전해 볼만 해요.
특정 주가지수 등을 추종하기 때문에,
스몰캡이나 소형주에 투자하는 펀드에 비해 안정적이죠.
대신증권 인덱스펀드는 최근 5년간 약 22%,
교보증권 인덱스펀드는 약 32% 수익을 기록했어요.
즉, 저위험 중수익 상품을 잘 활용하면 적금으로
연 20만원 수준의 이자를 받을 때,
연 200만원 수준의 수익을 얻는 셈이죠.
하지만 재테크 경험이 부족하고 직장이나
자영업이 바쁘신 분들이 일일이 모든
금융상품을 알아보기란 쉽지 않아요.
금융상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인근 은행에 방문해서 물어본들 자사 상품을
권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나의 여건에
딱 맞는 금융상품을 찾기는 어려워요.
빠르고 정확하게 나에게 적합한 금융상품 찾는 방법은?
그래서 요즘엔 무료재무센터를 많이들 방문하더라고요.
재무센터는 상담실적을 6만건 이상 보유하고 있고,
금융기관에 속한 곳이 아니라서 다양한 금융상품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비교분석해 볼 수 있기 때문이죠.
나에게 딱맞는 재테크 포트폴리오 무료 받기!! [클릭]
위 사이트는 요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곳 중 하나인데요,
수석 전문가가 나의 재테크 상황을 고려한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재테크 전략을 수립해주고,
재테크를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테크 포트폴리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죠.
상담을 통해서 적금 외에 위에서 알아본
RP/리츠펀드/인덱스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 비교해보시고,
은행에 방문하시면 훨씬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거에요~!!
'주식 기초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지로 켈켈거린다. (0) | 2020.04.26 |
---|---|
토네도가 생기는 단계 (0) | 2020.04.22 |
인도몬순의 강도는? (0) | 2020.04.17 |
바람을 불자 바람을 불어 (0) | 2020.04.16 |
몸에 좋은 마늘은 어떤 효능?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