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네이도의 성숙단계에서 파괴력은 가장 극심하다. 깔때기의 폭이 최대로 확장하는데다가 지표와 거의 수직을 이루기 때문이다. 제 3단계인 위축단계의 특징은 깔때기의 폭이 전반적으로 축소된다. 소명단계라 하는 최종단계에는 토네이도가 밧줄모양으로 늘어나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것은 대규모 토네이도의 전형적인 진행단계이다. 그러나 소규모 토네이도는 조직단계만 거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성숙단계를 건너 뛰어 곧바로 소멸단계로 가는 것도 있다. 해마다 미국에서는 토네이도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연평균 100명 정도 발생하나 단 하루에 100명이 목숨을 빼앗기기도 하였다. 토네이도 사망자의 45%가 이동주택에서 발생했다는 충격적인 통계도 있다.
뇌우에서 토네이도가 형성되려 한다는 첫 번째 징후는 뇌우 밑층에서 일어나는 구름의 회전이다. 회전구름역이 하강할수록 벽구름이 된다. 통상 벽구름 내부에서는 보다 규모가 작은 고속 회전깔대기 구름이 지상을 향해 길게 발달한다. 때로는 공기가 매우 건조해 회오리 바람은 지상에 도달, 먼지를 일으키기 시작할 때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주식 기초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렌트카 인수비용 Vs 할부구매 총 비용 비교 (0) | 2020.04.28 |
---|---|
먼지로 켈켈거린다. (0) | 2020.04.26 |
1억만들기 적금 Vs 저위험 중수익 상품, 승자는? (0) | 2020.04.19 |
인도몬순의 강도는? (0) | 2020.04.17 |
바람을 불자 바람을 불어 (0) | 2020.04.16 |